나는 도대체 왜 ‘제로 웨이스트 30일 챌린지’를 시작했을까?
요즘처럼 일회용품과 포장재가 넘쳐나는 시대에, 나에게 ‘제로 웨이스트’라는 단어는 단순한 유행이 아닌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선택으로 다가왔다. 나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한 달에 2kg 이상 나오는 나 자신의 생활을 보며 충격을 받았고, 이대로는 안 되겠다는 위기감을 느꼈다. 어느 날 우연히 본 환경 다큐멘터리에서 바다로 떠밀려간 비닐봉지를 삼킨 거북이의 모습을 보고 난 후, 더 이상은 이대로의 소비는 안 되겠기에 실제로 나의 소비 습관을 바꿔보기로 결심했다.
그렇게 시작된 것이 바로 ‘제로 웨이스트 30일 챌린지’였다. 이러한 챌린지는 SNS 상에서 간간히 화제가 되고 있었지만, 나는 단순한 참여가 아닌 철저한 기록과 반성, 그리고 실질적인 행동 변화를 목표로 진행했다. 이 글은 단순히 "플라스틱을 안 썼어요" 같은 내용이 아니라, 실제로 30일간 부딪힌 현실적인 문제와 그 해결 과정, 그리고 얻은 교훈을 담으려고 했다. 이 글이 앞으로 제로 웨이스트를 시작하려는 사람들에게 가장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길잡이가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써 내려간다.
제로 웨이스트 1주 차, 충격과 혼란 속에서 시작된 첫걸음
나에게 챌린지 첫 주는 그야말로 충격의 연속이었다. 아침에 일어나면 무심코 사용하는 일회용 화장솜, 배달시켜 먹는 도시락 포장지, 회사에서 나눠주는 캔 커피 하나까지, 내 주변의 모든 것이 쓰레기였다. 어쩔 수 없이 나는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몇 가지 기본 아이템을 준비했다. 면 손수건, 텀블러, 장바구니, 대나무 칫솔, 고체 비누와 샴푸 바 등등. 하지만 정작 이러한 아이템의 준비보다 더 중요한 건 내 습관을 바꾸는 것이었다.
제로 웨이스트 챌린지에 있어 나의 첫 번째 난관은 장보러 마트에 갔을 때였다. 거의 모든 식재료가 플라스틱에 싸여 있었고, 심지어 채소 하나조차 비닐에 포장돼 있었다. 결국 나는 마트에서 아무것도 구매하지 못하고 대신 동네 재래시장을 찾아가 장바구니에 식재료를 직접 담는 방식으로 그날의 장보기를 마무리 했다. 생활용품도 온라인이 아닌 리필 매장을 직접 찾아다녔다. 나에게 소비에 ‘고민’이 생겼고, 구매에 ‘계획’이 필요해졌다.
제로 웨이스트 챌린지 1주 차는 ‘나의 소비가 곧 쓰레기’라는 진실을 마주하는 기간이었다. 너무나 불편했고 피곤했지만, 동시에 이전에는 느끼지 못했던 소비에 대한 책임감이 생겨나는 기간이기도 했다.
제로 웨이스트 챌린지 2~3주 차, 불편함을 넘어 루틴으로 변한 습관들
제로 웨이스트 챌린지 2주 차부터는 본격적으로 제로 웨이스트 소비의 습관이 잡히기 시작했다. 출근할 때 텀블러를 챙기는 것이 일상이 되었고, 커피를 마실 때는 반드시 텀블러에 받아 마셨다. 사소한 일 같지만 일회용 컵을 하루에 한 개씩 줄이면 30일 동안 일회용 컵 30개를 줄인 셈이었다. 식사는 주로 집에서 직접 해 먹었고, 남은 음식 또한 밀폐용기에 담아 냉동보관했다. 제로 웨이스트 소비를 위해 배달은 거의 하지 않았고, 부득이하게 외식을 해야 할 경우 1회용 수저나 빨대는 정중히 거절했다.
이 시기부터 ‘제로 웨이스트’라는 개념이 현실적인 루틴으로 자리 잡아간 듯 하다. 나의 제로 웨이스트 챌린지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던 건 일주일 단위로 ‘제로 웨이스트 플래너’를 작성한 것이었다. 식단을 미리 짜고, 필요한 재료만 메모해 장을 보면 음식물 쓰레기와 과소비를 동시에 줄일 수 있었다. 이 습관은 다행히챌린지가 끝난 후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또한 주변 사람들과의 대화도 달라졌다. 친구들이 “이제 장바구니도 예쁘게 들고 다니네”라고 말할 때, 나는 자연스럽게 제로 웨이스트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사람이 되었다. 강요 없이, 스스로 변한 모습을 보여주며 좋은 영향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제로 웨이스트 챌린지 4주 차, 챌린지 그 이후의 지속 가능성을 고민하다
제로 웨이스트 챌린지 마지막 주가 되면서 나는 자연스럽게 과연 내가 ‘이걸 계속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게 되었다. 제로 웨이스트가 나에게 모든 면에서 무조건적인 금욕은 아니었다. 오히려 나는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며 정신적 만족감을 느끼는 법을 배웠고, 환경과 나를 동시에 아끼는 생활이 주는 즐거움을 알게 되었다.
물론 제로 웨이스트를 위하여 포기한 것도 있었다. 포장 없는 두부를 구하려다 결국 실패하기도 했고, 완전히 쓰레기 없는 삶은 아직까지 불가능하다는 것도 인정하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에게 중요한 건 완벽함이 아닌 방향성이었다. 100% 제로는 어렵지만 80%, 50%라도 실천을 통해 그만큼의 또는 그 이상의 변화를 만들 수 있다. 나 하나가 바뀌었을 뿐인데 한 달 동안 약 2.4kg의 쓰레기를 줄였다는 수치는 내게 큰 동기부여가 되었다.
또한 나는 이 경험을 블로그에 기록하며 사람들과 공유했고, 예상보다 많은 공감과 응원을 받았다. 나의 글을 읽고 제로 웨이스트를 시작한 사람들이 생겼다는 메시지를 받을 때, 나는 이 작은 실천이 분명히 세상을 바꾼다고 믿게 되었다.
제로 웨이스트는 선택이 아니라 생존 전략이다
나의 제로 웨이스트 30일 챌린지는 단순한 환경운동이 아니었다. 그것은 나의 삶을 재정비하는 과정이었고, 소비에 대한 주도권을 되찾는 일이었다. 내 생활에서 불필요한 쓰레기를 줄이는 대신, 내 삶에 필요한 진짜 물건과 행동만을 남겼다. 그 결과 나는 정신적으로도 훨씬 가벼워졌고, 물리적인 쓰레기뿐 아니라 ‘생활의 노이즈’까지 줄이는 데 성공했다.
무조건적인 금욕이 아닌, 내가 실천 가능한 만큼 조금씩 줄여가는 과정이 제로 웨이스트의 핵심이다. 제로 웨이스트 챌린지 시작 30일 후 나는 더 이상 예전처럼 무심코 일회용품을 쓰지 않는다. 항상 고민하고 대안을 찾는다. 이 습관은 단지 챌린지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일상의 전략이 되었다.
이제 나는 말할 수 있다. 제로 웨이스트는 불편하지만 아름답고, 어렵지만 충분히 가치 있는 도전이라고.
'제로 웨이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 웨이스트 육아시 기저귀부터 장난감까지 (3) | 2025.07.14 |
---|---|
도심 속에서 제로 웨이스트 실천하기(서울과 부산 사례 중심) (6) | 2025.07.14 |
제로 웨이스트와 ESG 소비, 나도 투자할 수 있을까? (4) | 2025.07.13 |
제로 웨이스트 중고 거래로 월 30만원 버는 법 (8) | 2025.07.13 |
제로 웨이스트 운동에 동참하는 유명인 7명 (6) | 2025.07.12 |